안녕하세요. 이 글은 math teacher님이 보내주신 글입니다 (2018.3.28). 제가 블로그에 적었던 글을 너무 높게 봐주신 것 같아 몸둘바를 모르게 해주셨는데, 또 한편으로는 제가 정말 가치가 있는 일을 하고 있구나라는 생각을 확신하게 해 주셔서 정말 감사하다는 말씀을 전해드리고 싶네요. 작년에 math teacher님이 보내주신 SOP를 읽으면서 정말 깊은 인상을 받았는데, 역시 그런 인상을 받은 건 저만 아니라는 것이 적어주신 후기에서 살짝살짝 보이네요. 이 후기를 읽으면서 정말 눈부신 분이라는 생각을 다시 한번 했습니다. 제가 다 울컥하네요. 다시 한번 정말 좋은 글을 보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목은 제가 임의로 달았습니다. 강추도 제가 멋대로 적었어요 ㅎ. 제가 제출했던 Academic ..
이 글은 경제학 박사과정에 지원하신 K**님이 메일을 통해 제게 보내주신 글입니다 (2018.3). 우선 이번 박사학위 지원과정에서 SOP작성에 풀브대장님이 작성하신 글들을 보고 많이 참고하여 무사히 지원을 마치게 되어 감사드립니다. 아직 지원결과가 다 나오지 않은 상태이고, 지금까지 나온 결과는 좋지 못해서 제가 알려드릴 노하우가 있을까 하여 메일을 보내지 않을까 하다가 조금이나마 제 경험을 말씀 드리고 보탬이 될까하여 메일드립니다. 저는 경제학을 전공하고 있고 이번 가을학기 입학을 목표로 석사과정 1개를 포함한 총 18개의 학교를 지원하였습니다. 그 중 7개의 reject, 석사 1개 합격과, 1곳에서 인터뷰 후에 wait list에 있으니 기다려보라는 통보를 받은 상태입니다. 인터뷰 받았던 곳은 G..
안녕하세요! 작년 미국석사 지원을 위해 아둥바둥 자료를 모으기 위해 애쓸 때, 우연히 풀브대장님께 에스오피를 포함한 양질의 정보를 공유 받아 큰 도움을 받은 학생입니다. 저는 지방에 한 국립대에서 학부졸업을 했습니다. 수도권에 비해 교육 인프라도 한참 부족하고 정보를 얻기도 쉽지 않았습니다. 영어 점수 준비는 서울을 오가며 한다했지만, 그 외 SOP작성, 추천서 등의 서류 준비는 온전히 저의 몫이었던 것 같아요. 특히, 고우해커스 등 유학 커뮤니티에 공유되는 자료들은 대부분 ph.D 지원과 관련된거였어요.(대부분 국내 석사, 미국박사를 하시는 것 같더라구요.) 학부를 막 졸업했으니 대학원의 '대'자도 모르는건 당연했고, 어떤 경력을 토대로 레쥬메를 작성해야하는지, 연구분야는 어떻게 정해야하는지, 연구경험..
안녕하세요! 체리곰탱입니다 원래 GRE WR을 주로 하고 있는데, 제 경험을 나누고자 먼저 이 글을 써요! 여러 분들이 지금 어떤 상태 인진 모르겠지만,음ㅡ 서류를 한창 준비하시는 분들고 계실거고, 아직 유학은 좀 멀리 두고 생각해 보고 경험담들을 찾는 분들이 계실태고ㅡ 그래도 이 글은 언제 읽어도 아마 도움은 되실거에요! ^_^...* (어플라이 자체를 하는 건 나중에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할게요!) 우선, 서류 제출 이후가 가장 힘든 시기 라고 감히 말씀드려요. 사실 서류들 준비했을 때 보다 더 힘들고 지치고 정말 무엇을 해야될지 모르겠는 짧고도 긴 기간이라 생각되네요. 저는 전공이 생물학 계열인데 여기 저기 주워 들은 게 "바이오 계열이면 서류 준비되는대로 일찍 어플라이 하는 게 제일 좋아!"라는 것..